프로젝트

일반

사용자정보

2 VPC 생성 » 이력 » 버전 2

SANGKYU KANG, 2019-02-15 04:54 오후

1 1 SANGKYU KANG
2 2 SANGKYU KANG
h1. VPC 설정
3
4 1 SANGKYU KANG
---
5
6 2 SANGKYU KANG
{{>toc}}
7
8 1 SANGKYU KANG
>VPC는 Region에 종속 된다. 
9
>VPC는 하나의 라우터 아래의 네트워크로 이해 하면 쉽다. 
10
11
12
h3. 1. '서비스 찾기' 검색 창에  *VPC*  를 입력한 뒤 검색 결과의 VPC를 클릭하여 해당 기능으로 이동한다.
13
14
!picture160-1.png! 
15
>계정이 활성화 되면 접속한 리전(region)에 자동으로 기본 VPC, 서브넷, 라우팅 테이블이 설정 된다.
16
>즉 사용자가 별도로 VPC설정을 하지 않더라도 기본적으로 설정이 되어있으므로 즉시 EC2를 비롯한 서비스들을 바로 사용할 수 있다.
17
18
19
h3. 2. VPC 생성
20
21 2 SANGKYU KANG
VPC메뉴에 진입하면 자동으로 생성 된 VPC가 존재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22
한 개의 VPC만 존재하는경우 기본 VPC를 삭제할 수 없다.
23 1 SANGKYU KANG
24 2 SANGKYU KANG
25
h4. 2.1 VPC 생성
26
27 1 SANGKYU KANG
*[Create VPC]* 버튼을 클릭한다.
28
29
!picture731-1.png!
30
31 2 SANGKYU KANG
- Name tag : 사용자가 구분하기 편하도록 작성하는 이름. 모든 VPC들은 고유한 UUID로 구분되므로 식별이 편한 이름을 입력하는 것이 좋다.
32 1 SANGKYU KANG
- IPv4 CIDR block : 사용하고자 하는 네트워크의 크기를 지정한다. 
33
>VPC는 이론적으로 각각 독립된 네트워크 영역이므로 다른 VPC에서 사용 중인 대역의 IP 대역을 사용해도 무방하다.
34
>동일 리전의 동일 AZ 라고 해도 각각의 VPC는 독립적이므로 피어링 설정을 하지 않을 경우 VPC간에는 통신을 할 수 없다.
35
- IPv6 CIDR block : IPv6를 사용할 것인지 선택한다.
36
- Tenancy : 전용 하드웨어를 사용할 것인지 선택한다. 
37
> dedicated를 선택하는경우 추가 요금이 발생한다.
38
39
*[Create] 버튼을 클릭한다.
40
41 2 SANGKYU KANG
!picture896-1.png!
42
43
생성된 VPC를 선택하면 해당하는 VPC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
44
45
46
h4. 3. 서브넷
47
48
>Subnet은 VPC에 종속적이다.
49
>Subnet은 AZ(Available Zone)에 종속된다.
50
51
52
좌측 메뉴의 *[서브넷]* 을 클릭한다.
53
54
*[서브넷 생성]* 을 클릭한다.
55
56
!picture896-3.png!
57
58
- 이름 태그 : 사용자가 구분하기 편하도록 작성하는 이름. 모든 Subnet들은 고유한 UUID로 구분되므로 식별이 편한 이름을 입력하는 것이 좋다.
59
- VPC : 생성하는 Subnet이 속하는 VPC를 선택 한다.
60
>subnet은 VPC에 종속되므로 다른 리전의 VPC를 선택할 수 없으며, 한번 생성하면 VPC를 변경 할 수 없다.
61
- VPC CIDR : 선택한 VPC의 네트워크 CIDR 을 표시된다
62
-가용 영역 : 현재 속한 리전의 AZ를 선택한다. 만약 선택하지 않으면 임의로 지정된다.
63
>subnet은 리전-AZ에 종속되므로 선택한 AZ를 변경할 수 없다.
64
>두개 이상의 subnet을 생성 하는 경우 장애 대응을 위해 모두 다른 AZ를 선택 하는 것이 좋다.
65
-IPv4 CIDR 블록 : VPC에서 지정한 네트워크를 쪼개는 개념이므로 VPC의 네트워크에 종속되며, 더 큰 prefix를 지정할 수 없다
66
67
68
h4. 4. 라우팅 
69
70
h5. 4.1 라우트 테이블 생성
71
72
>VPC를 생성하면 기본 라우트 테이블이 자동으로 생성된다. 
73
74
촤측 메뉴의 *[라우팅 테이블]* 을 클릭한다.
75
*[Create route table]* 을 클릭한다.
76
77
!picture152-1.png!
78
79
- Name tag : 사용자가 구분하기 편하도록 작성하는 이름. 모든 Route table들은 고유한 UUID로 구분되므로 식별이 편한 이름을 입력하는 것이 좋다.
80
 -VPC : VPC를 선택한다. 
81
82
h5. 4.2 라우트 테이블 편집
83
84
>외부(인터넷) 영역으로 통신이 필요한 서브넷에 대한 라우팅 설정이므로 외부 연결이 필요 없는 서브넷일 경우 설정하지 말아야 한다.
85
86
편집하고자 하는 *라우트 테이블* 을 선택하고 하단 탭의 *[Route]* 를 클릭한다.
87
88
>VPC내 인스턴스들 사이의 통신을 위해 기본적으로 *"VPC의 모든 네트워크" -> Local"* 라우팅이 설정되어있다. 이 값은 변경 불가능하다.
89
90
*[Edit routes]* 버튼을 클릭한다.
91
*[Add route]* 버튼을 클릭한다.
92
93
!picture152-2.png!
94
95
- Destination : 0.0.0.0/0
96
- Target : 목적지를 지정한다. 
97
98
h4. 피어링 연결 설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