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젝트

일반

사용자정보

2 VPC 생성 » 이력 » 버전 1

SANGKYU KANG, 2019-02-15 03:32 오후

1 1 SANGKYU KANG
h1. 2 VPC 설정
2
3
---
4
5
>VPC는 Region에 종속 된다. 
6
>VPC는 하나의 라우터 아래의 네트워크로 이해 하면 쉽다. 
7
8
9
h3. 1. '서비스 찾기' 검색 창에  *VPC*  를 입력한 뒤 검색 결과의 VPC를 클릭하여 해당 기능으로 이동한다.
10
11
!picture160-1.png! 
12
>계정이 활성화 되면 접속한 리전(region)에 자동으로 기본 VPC, 서브넷, 라우팅 테이블이 설정 된다.
13
>즉 사용자가 별도로 VPC설정을 하지 않더라도 기본적으로 설정이 되어있으므로 즉시 EC2를 비롯한 서비스들을 바로 사용할 수 있다.
14
15
16
h3. 2. VPC 생성
17
18
>VPC메뉴에 진입하면 자동으로 생성 된 VPC가 존재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19
>한 개의 VPC만 존재하는경우 기본 VPC를 삭제할 수 없다.
20
21
*[Create VPC]* 버튼을 클릭한다.
22
23
!picture731-1.png!
24
25
- Name tag : 사용자가 구분하기 편하도록 작성하는 이름. 모든 인스턴스들은 고유한 UUID로 구분되므로 식별이 편한 이름을 입력하는 것이 좋다.
26
- IPv4 CIDR block : 사용하고자 하는 네트워크의 크기를 지정한다. 
27
>VPC는 이론적으로 각각 독립된 네트워크 영역이므로 다른 VPC에서 사용 중인 대역의 IP 대역을 사용해도 무방하다.
28
>동일 리전의 동일 AZ 라고 해도 각각의 VPC는 독립적이므로 피어링 설정을 하지 않을 경우 VPC간에는 통신을 할 수 없다.
29
- IPv6 CIDR block : IPv6를 사용할 것인지 선택한다.
30
- Tenancy : 전용 하드웨어를 사용할 것인지 선택한다. 
31
> dedicated를 선택하는경우 추가 요금이 발생한다.
32
33
*[Create] 버튼을 클릭한다.
34
35
!picture8961.png!